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태아 질환

신생아 황달, 그냥 지나치면 안 되는 이유(1편: 원인과 진단)

신생아 황달, 그냥 지나치면 안 되는 이유(1편: 원인과 진단)

1. 신생아 황달, 왜 생기는 걸까요?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 일주일 내외의 신생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로, 피부나 눈 흰자 위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이를 단순한 생리적 현상으로 여기고 넘기지만, 모든 황달이 무해한 것은 아닙니다. 신생아 황달은 체내에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쌓이면서 발생하는데, 이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성됩니다.

신생아의 간은 아직 미성숙해 이 빌리루빈을 잘 배출하지 못하므로 혈중 농도가 높아질 수 있죠.

실제로 생후 23일경에 나타나는 생리적 황달은 대부분 12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그러나 이 시기를 넘겨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빌리루빈 수치가 지나치게 높다면, 이는 단순 생리적 현상을 넘어선 '병적 황달'일 수 있어 반드시 전문적인 진단이 필요합니다.


2. 어떤 황달은 위험할 수 있어요

모든 황달이 무해한 것은 아닙니다. 병적 황달의 경우 그 원인이 다양하며,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병적 황달의 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모유 황달: 일부 모유 속 성분이 빌리루빈 배출을 방해해 생기는 경우
  • 모체-태아 혈액형 불일치: ABO 또는 Rh 부적합으로 인해 신생아의 적혈구가 파괴되는 상황
  • 용혈성 질환: 선천적 효소 결핍 등으로 인해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됨
  • 감염: 신생아 패혈증, B형 간염 등
  • 선천성 간 질환 또는 담도폐쇄증

이 중 담도폐쇄증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해 황달이 지속되는 병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 조기 발견이 곧 예후를 좌우하기 때문에, 황달이 오래 지속된다면 단순 체질로 넘겨서는 안 됩니다.


3. 황달을 진단하는 방법은?

신생아 황달은 시각적으로 피부 색을 관찰해 초기 추정이 가능하지만,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중 총 빌리루빈 수치 측정이 필수입니다. 피부에 기기를 대어 측정하는 '피부 빌리루빈 측정기'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혈액 검사가 가장 정확하죠.

혈중 빌리루빈 수치 외에도, 아래 항목들이 함께 검사될 수 있습니다:

  • 간기능 검사
  • 혈액형 검사 및 용혈성 질환 여부 확인
  • 소변 및 대변 색상 확인 (담즙 배출 여부 파악)
  • 복부 초음파 및 간 영상 검사 (담도폐쇄증 의심 시)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생리적 황달과 병적 황달을 구분하고, 필요한 조치를 조기에 취할 수 있게 됩니다.


4. 집에서 주의 깊게 살펴볼 점

아이가 태어난 후 병원에서 퇴원하게 되면, 집에서는 부모가 아기의 상태를 세심히 관찰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징후가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생후 2주가 지나도 피부나 눈이 노랗다
  • 소변 색이 짙은 노란색을 넘어서 진한 갈색이나 붉은빛을 띤다
  • 대변이 희거나 무색이다 (담도폐쇄증 의심)
  • 수유를 거부하거나 잘 먹지 않고 처져 있다
  • 눈동자가 흐리거나 의식이 흐릿해 보인다

특히 대변 색은 중요한 지표입니다. 보통 모유수유 아기의 대변은 황금빛을 띠는데, 무색 또는 회백색이라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5. 조기 진단이 중요한 이유

신생아 황달은 대부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병적 황달을 조기에 진단하지 못하면 '핵황달'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핵황달은 빌리루빈이 뇌 조직에 침투해 뇌성마비, 청각장애, 발달지연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되돌릴 수 없는 손상이기에, 무엇보다 '진단의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이나 건강검진 시기 외에도, 부모가 아기의 황달 상태를 꾸준히 확인하고 이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6. 다음 글 예고 및 연결 안내

황달이 의심되거나 진단되었을 때, 어떻게 대처하고 치료할 수 있는지 궁금하셨죠?
2편에서는 황달 치료법, 수유 방법, 입원 여부, 지자체 지원금 정보 등 실질적인 해결 방안과 부모가 해야 할 행동들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https://ddoong-info.tistory.com/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