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걱정

(3)
신생아가 잘 안 웃어요, 괜찮은 걸까요?(2편) 1. 표정 없는 아기, 정말 문제가 있는 걸까?신생아가 잘 웃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또래 아이들은 벌써 방긋방긋 잘 웃는데, 우리 아이는 왜 웃질 않을까?” 하는 불안에 빠지곤 하지만, 아기마다 사회적 미소를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는 제각각입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6주에서 8주 사이에 처음 웃음을 짓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어떤 아이는 10주가 지나서야 웃음을 짓기도 하죠. 아이의 성격, 기질, 주변 환경까지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웃음이 늦는 것만으로는 발달 문제를 단정할 수 없습니다. 다만, 생후 3개월이 지나도록 눈을 잘 맞추지 않고, 사람에 대한 반응도 거의 없다면 조금 더 주의 깊게 관찰해볼 필요는 있습니다.부모 입장에서는 이런 사소한 변화가..
눈을 잘 못 맞추는 아기, 자폐 전조일까?(1편) 1. 아기가 눈을 잘 못 맞추는 모습, 자연스러운 걸까?아기의 시선은 부모가 가장 먼저 관찰하게 되는 소통의 시작입니다.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가 엄마의 얼굴을 바라보거나, 눈을 맞추는 모습을 보면 부모는 큰 감동을 느끼곤 하죠. 반면, 생후 몇 개월이 지나도록 눈을 잘 맞추지 않거나, 마치 관심이 없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 부모는 걱정이 앞서기 마련입니다. “혹시 자폐인가요?”라는 질문은 소아과 진료실에서도 흔히 들리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기의 시각 발달 속도입니다. 신생아의 시력은 성인에 비해 매우 낮고, 약 2030cm 정도 가까운 거리의 얼굴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6주부터 시각적 주의력이 조금씩 발달하면서 부모의 얼굴에 집중하기 시작합니다..
아기가 자꾸 토해요, 왜 그런 걸까요?(1편) 1. 구토와 트림, 어떻게 다를까요?신생아의 잦은 입 주변 토사물은 흔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하지만 이게 단순한 트림인지, 아니면 구토인지 구분하는 건 쉽지 않죠.트림 후 나오는 약간의 우유 역류는 생리적 현상입니다.반면 구토는 복부 근육 수축이 동반되며, 양도 많고 분출력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일시적인 것인지, 반복적인 것인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게 첫걸음입니다.2. 위식도 역류는 흔한 원인 중 하나생후 몇 개월 동안 아기의 식도 근육은 아직 미성숙한 상태입니다.이로 인해 위 내용물이 쉽게 역류하게 되죠.우유를 먹고 난 후 곧바로 누워버리거나, 트림 없이 재우는 것도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경우 생후 6개월을 지나면서 이런 증상은 점차 줄어듭니다.따라서 위식도 역류는 병이라기보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