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생아자폐

(2)
신생아가 잘 안 웃어요, 괜찮은 걸까요?(2편) 1. 표정 없는 아기, 정말 문제가 있는 걸까?신생아가 잘 웃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또래 아이들은 벌써 방긋방긋 잘 웃는데, 우리 아이는 왜 웃질 않을까?” 하는 불안에 빠지곤 하지만, 아기마다 사회적 미소를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는 제각각입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6주에서 8주 사이에 처음 웃음을 짓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어떤 아이는 10주가 지나서야 웃음을 짓기도 하죠. 아이의 성격, 기질, 주변 환경까지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웃음이 늦는 것만으로는 발달 문제를 단정할 수 없습니다. 다만, 생후 3개월이 지나도록 눈을 잘 맞추지 않고, 사람에 대한 반응도 거의 없다면 조금 더 주의 깊게 관찰해볼 필요는 있습니다.부모 입장에서는 이런 사소한 변화가..
눈을 잘 못 맞추는 아기, 자폐 전조일까?(2편) 1. 눈을 안 마주친다고 모두 자폐는 아니다아기가 눈을 잘 마주치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신생아부터 돌 무렵까지 아기의 시각 발달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며, 상황이나 기분, 건강 상태에 따라 눈 맞춤 정도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후 2~3개월 이전의 아기들은 아직 시력과 인지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레 눈을 맞추는 시간이 짧거나 피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부모님들이 3개월 이전 아기의 눈맞춤 부족으로 큰 걱정을 하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점차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스레 시선도 교감도 증가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또한, 배고픔, 졸림, 피곤함, 배 속 불편감 같은 생리적 이유로도 아기들은 눈을 피할 수 있습니다. 낯선 환경, 사람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