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문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태어나자마자 수유 거부?(해결방법 편) 1. 수유 거부의 원인별 대응 방법태어난 아기가 모유나 분유를 제대로 먹지 않으면 부모는 깊은 걱정에 빠집니다. 하지만 수유 거부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으며, 그에 맞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했다면, 이제는 아이의 상태에 맞는 조치를 단계별로 시도해볼 차례입니다.입 주변 이상: 아기의 입술, 혀, 잇몸, 구강 점막 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 유축한 모유나 분유를 스푼으로 소량씩 먹여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혀나 입천장 결손이 있는 경우에는 구강외과, 이비인후과 등의 협진이 필요합니다.신체 질환: 선천성 대사질환, 위식도역류, 신경학적 문제 등 질환이 의심된다면 병원에서 혈액·뇨·뇌초음파 등 정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질환이 확인되면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식이조절 또는 약물치료가 동반됩니.. 태어나자마자 수유 거부?(진단 편) 1. 신생아 수유 거부, 정말 흔한 일일까?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가 수유를 거부한다면 부모로서는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 우리 아기는 젖을 빨지 않을까?","어디가 아픈 걸까?"라는 걱정이 꼬리를 물지요. 실제로 신생아의 수유 거부는 드물지 않게 관찰되며, 원인은 다양합니다.대개는 일시적이고 생리적인 현상이지만, 일부 경우에는 의학적 평가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아기는 출생 직후 자궁 밖 환경에 적응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씁니다. 분만 과정의 스트레스, 양수 흡입, 체온 변화, 심지어 분만 중 사용된 약물의 잔여 효과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유 반응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가 24~48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주의가 필요하며, 정확한 원인 파악이 우선되어야 합니다.2... 너무 자주 토하는 우리 아기, 단순 역류일까?(2편) 1. 병원에 가야 하는 구토, 어떻게 구별할까?신생아의 구토는 흔한 일이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의학적인 진단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부모로서 아기의 구토가 단순한 생리적 현상인지, 아니면 질환의 신호인지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아래와 같은 징후가 보인다면 병원 방문을 미루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사출성 구토: 먹은 것을 분수처럼 뿜듯이 토한다면 위장 질환 가능성이 있습니다.구토에 피, 초록색(담즙) 섞여 나옴: 내장 출혈, 장 폐색 등의 심각한 질환 신호일 수 있습니다.체중 증가 정체 또는 감소: 자주 토하면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구토 후에도 계속 불편해함: 일반적인 역류는 토하고 나면 편안해지지만, 질환성 구토는 계속 울거나 보채는 경우가 많습니다.체온 변화, 기저.. 이전 1 다음